요즘들어 한집에 컴퓨터가 2대이상 있는것은 아주 흔한일이 되었다.
하지만 컴터는 여러대가 있어도 프린터기는 한대뿐이 안산다. 당연한거겠지만...
이번시간에는 소규모 홈 네트워크 구성과 그것을 이용한 파일공유, 프린터 공유를 통해서 프린트 할때마다 프린터기가
연결된 컴터를 켜고 파일을 옮기고 인쇄를 누르는 과정을 단축시켜 보도록 하자.
정말 쉬운거다.
주절거리는건 이쯤하고.
딴거 없고 이대로만 따라하면 됩니다.
우선 네트워크 구성 전에 사용자 컴퓨터의 구성을 확인해야겠죠?
인터넷 공유기나 허브를 통해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끼리만 네트워크가 구성됩니다. 일딴 이점 유의 하시고.
네트워크 연결 아이콘을 눌러 네트워크 연결 창을 띄웁니다.
옆에 보시면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정이라는 메뉴가 보이죠? 이것을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것입니다.
살포시 눌러보면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마법사치곤 별로 잘하는 일이 없는 마소의 마법사...이지만 우리는 그의 도움을 받을 것입니다.
다음을 눌러보도록 합시다.
우리가 첫번째로 만나게 되는 분기점입니다. 가장 잘 설명한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우리의 컴퓨터는 공유기나 허브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2번째 항목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다음을 눌러보죠.
컴퓨터의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될수있으면 영어를 권장하는 바입니다. 특문 싫고요. 설명은 적절히 쓰세요.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나 이름이 겹치면 어떤 컴퓨터가 어떤 것인지 분간이 안가니 불편하겠죠?
적당히 작명센스를 발휘한 뒤에 다음을 눌러봅시다.
가장 중요한 부분에 왔습니다.
작업그룹의 이름을 지정할 때입니다. 네트워크 구성을 하려는 모든 컴퓨터들의 작업그룹 이름을 같은 이름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꼭 같은 이름으로 안해줘도 되는데 종종 공유기에서 상대 컴퓨터가 안잡히는 일이 생기더군요...
(경험상이니 걍 참고만 하세요. 허브의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 잘되더군요.)
다음으로 중요한곳에 왔습니다.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해 설정을 해온것이기에 당연히 첫번째 항목을 선택합니다.
혹시 보안에 걱정이 된다 하시는 분은 프린터가 연결되어 프린터기를 공유하게 해줄 컴퓨터만 1번항목을 선택하고 나머지
컴퓨터들은 2번 항목을 선택하셔도 프린터공유는 가능합니다.
파일 공유가 목적이라면 모두 1번항목을 선택하도록 합시다.
마지막이군요. 설정을 확인합니다.
이제 다음을 누르면 설정을 적용하고 시스템을 리부팅하게 됩니다.
네트워크 연결을 하고자 하는 공유기 또는 허브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위의 작업을 반복해주시면 됩니다.
나머지 컴퓨터도 위와 같은 설정을 마치고 리부팅이 끝났다면
이제 내 네트워크 환경을 열어봅시다.
내 네트워크 환경에 들어가시면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가 구성된 컴퓨터의 공유문서가 보일 것입니다.
이제 연결이 잘 되는것 같으니 프린터를 공유해야겠죠?
시작 - 제어판 - 프린터 및 팩스를 열어보도록 합시다.
스샷 상에는 여러 프린터 목록이 뜨는데... 이전에 이미 프린터 공유를 해놓은 상태였기에... 하튼 무시하시고.
공유를 할 프린터를 오른쪽 클릭하여 공유메뉴를 선택합니다.
공유 탭을 보시면 프린터 공유에 대한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이 프린터를 공유를 선택하므로써 프린터 공유가 가능해집니다.
추가 드라이버 부분이 있는데 만약 공유하게 되는 컴퓨터가 64bitcpu를 사용하는 모델이거나 운영체제의 버전이
다르거나할때 추가적으로 드라이버를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수 있도록 하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비스타와 XP를 혼용하시거나 64bit 씨피유가 장착된 컴터가 있는 집이라면 필수적으로 체크를 해주셔야 합니다.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확인을 눌러봅니다.
이제 프린터가 잘 공유되었는지 확인할 시간입니다.
프린터를 공유받을 컴퓨터의 내 네트워크 환경을 열어봅시다.
옆에 보시면 작업 그룹 컴퓨터 보기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눌러보록 합시다.
같은 작업그룹내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목록이 보입니다.
공유가 되어있는 프린터기가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해 봅시다.
프린터가 공유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블클릭 또는 오른쪽 클릭후 연결을 이용하여 프린터기의 드라이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것으로 프린터기의 사용이 가능해 집니다.
제어판의 프린터 및 팩스에 들어가면 위의 공유되어있는 프린터기가 추가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그리 어렵지 않은 간단한 방법으로 문서의 출력이 필요할 때마다 파일을 옮기고 인쇄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단지
컴퓨터를 켜주는 것으로 출력이 가능해졌습니다.
굉장히 쉽고 간단한 작업입니다. 꼭 이글을 보지 않더라도 윈도우의 도움말 항목을 통해서도 알수있는 방법이지만...
어떠한 물건을 구입하였을 때 그것에 딸려오는 사용자 설명서를 꼼꼼히 읽어보는 사람이 그리 많은것 같지가 않군요...
특히 컴퓨터의 하드웨어부분에 대한 설명서는 아주 분리수거를 해버리는 친절함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_-
'컴퓨터 &태그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터넷이 느려지는 마이엠 제거 방법 (0) | 2012.12.17 |
---|---|
[스크랩] 동영상, 영화 버퍼링 끊기는 현상 완화하기 (0) | 2012.12.17 |
[스크랩] 컴퓨터 문제 해결 종합편 (0) | 2012.12.17 |
[스크랩] 긴글을 간단하게 복사하는 방법 (0) | 2012.12.16 |
[스크랩] 인터넷 고수 되는법 (0) | 201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