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야경

[스크랩] 천혜의 비경-가고싶은섬 소매물도

원고리 2014. 1. 1. 14:35

 

 

 

 

 

 

 

 

 

눈과 마음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소매물도를

올리면서 풍광이 너무 감동스러워

파가니니의 "첸토네"로 올렸습니다.

 

 

 

 

 

 


 

 

 

 

 

   

 

 

 

 

 

 

 

 

 

 

 

 

 

 

 

 

 

 

 

 

 

 

 

 

 

 

 

 

가고싶은섬  소매물도

 

 

 

 

 

 

 

 

 

 

 

 

 

매물도라는 명칭은 본래 본 섬인 대매물도의 형상이 '매물' 즉 '메밀'처럼 생겨서 붙여졌다고 한다.

 

 

 

 


등대섬의 본래 이름은 해금도(海金島)이지만 등대와 어우러진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등대섬으로

 

 

불리워졌는데, 2002년 국립지리원 고시 제2002-215호에 의거 공식명칭인 "등대도"로 확정되었다.

 

 


남해바다의 풍경과 남국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통영은 경남 거제에서 전남 여수에 이르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심장부에 위치하고 있다.

 

 


비취색을 띄는 청정해역에는 충절이 서린 호국의 성지인 한산도와 한폭의 그림과도 같은

 

 

매물도가 보는 이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한려수도 삼백리 물길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경남 통영은 비취빛 바다와 그 위에 떠있는

 

15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 그리고,

 

배와 요트등이 연출하는 빼어난 풍광으로 "한국의 나폴리"로 불리기도 한다.

 

 


 

 

 


더욱이 맑은 자연과 함께 온화한 기후, 한산대첩의 역사적 문화유산에다

 

극작가 동랑 유치진과 시인 유치환, 김상옥, 김춘수,

 

 


소설가 박경리, 미술가 김용주, 전혁림, 이한우, 김형근 등 걸출한 문화예술인들이 태어난

 

문화예술의 고장으로 곳곳에서 역사와 예술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소매물도 등대는 일제강점기때 일본의 필요에 의해서 1917년 무인등대로 건립되었으나,

 

 

1940년 유인등대로 전환되었다.

 

 


소매물도등대의 등탑은 콘크리트 구조이며 높이는 16m이다.

 

 


하얀색의 원형 등탑은 자태가 고풍스러울 뿐만아니라 프리즘 렌즈를 사용한 대형 등명기를 이용해

 

 


약 48km거리까지 불빛을 비추며 남해안을 지나는 선박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매물도는 크게 유인도인 대매물도와 소매물도로 이루어져 있는데,

 

 

거제도 남단에 위치한 소매물도(小每勿島)는

 

 


면적이 2.51㎢에 불과한 작은 섬으로 본섬에는 20여 가구가 거주하며,

 

 

행정구역상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속한다.

 

 

 

 

 

 

 

 

 

 

 

 

 

 

 

 

 

 

 

  

  

 

 

 

 

 

소매물도의 북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는 맏형 격인 매물도가 인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대마도가 불과 70여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소매물도의 절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천연전망대인 망태봉 정상에서는

 

바로 앞에 등대섬이 내려다 보이고, 여기서 보는 등대섬의 전경은 소매물도 절경 중 최고로서,

 

소매물도와 등대섬이 어울려 빚어내는 멋진 모습을 찍기 위해

 

우리나라 섬들 가운데 사진 작가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등대섬 중턱에 솟아있는 소매물도 등대는 여행작가들로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등대로 평가받아 여행관련 잡지에도 자주 소개되며,

 

각종 영화의 촬영지로도 각광받고 있다.

 

 


 

 

 


하루에 2회 썰물때가 되면 소매물도의 본섬과 등대섬 사이에는

 

약 80여m폭의 열목개 자갈길(모세의 기적)이 열린다.

 

 


물 위로 드러난 몽돌해변을 지나 등대섬으로 건너가면 새하얀 암벽과 갖가지 형상의 바위들,

 

눈이 시리도록 새파란 물빛과 아스라한 수평선,

 

들꽃이 흐드러지게 핀 초원과 우뚝 솟은 등대와의 어울림은 형용하기 어려운 감동을 준다.

 

 


 

 

 


통영8경 '소매물도에서 바라본 등대섬'

 

소매물도와 등대섬의 기암괴석과 총석단애가 특히 절경이며,

 

썰물일 때는 이 두점 이 연결되어 건너다닐 수 있다.


용바위, 부처바위, 거북바위, 촛대바위, 글씽이굴은 대자연의 걸작품이다.

 

 


볼거리를 하나 더 추가한다면 등대섬에서 소매물도를 바라보면

 

기암괴석으로 이어진 바위 전체가 거대한 공룡이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소매물도의 또 다른 멋을 느낄 수 있다.

 

 

 

 '매미도'로 되어 있음

                                                                                                                                    

매물도 옆에 있는 작은섬이라 하여 '소매물도'라 한다.


 

 

 

 

 

 

 

 

 

 

 

 

 

 

 

 

 

 

 

 

 

 

 

 

 

 

 

 

 

 

 

 

 

 

 

 

 

 

 

 

 

 

 

 

 

 

 

 

 

 

 

 

 

 

 

 

 

 

 

 

 

 

 

 

 

 

 

 

 

 

 

 

 

 

 

 

 

 

 

 

 

 

 

 

 

 

 

 

 

 

 

 

 

 

 

 

 

 

 

 

 

 

 

 

 

 

 

 

 

 

 

 

 

 

 

 

 

 

 

 

 

 

 

 

 

 

 

 

 

 

 

 

 

 

 

 

 

 

 

 

 

 

 

 

 

 

 

 

 

 

 

 

 

 

 

 

 

 

 

 

 

 

 

 

 

 

 

 

 

 

 

 

 

 

 

 

 

 

 

 

 

 

 

 

 

 

 

 

 

 

 

 

 

 

 

 

 

 

 

 

 

 

 

 

 

 

 

 

 

 

 

 

 

 

 

 

 

 

 

 

 

 

 

 

 

 

 

 

 

 

 

 

 

 

 

 

 

 

 

 

 

 

 

 

 

 

 

 

 

 

 

 

 

 

 

 

 

 

 

 

 

 

 

 

 

 

 

 

 

 

 

 

 

 

 

 

 

 

 

 

 

 

 

 

 

 

 

 

 

 

 

 

 

 

 

 

 

 

 

 

 

 

 

 

 

 

 

 

 

 

 

 

 

 

 

 

 

 

 

 

 

 

 

 

 

 

 

 

 

 

 

 

 

 

 

 

 

 

 

 

 

 

 

 

 

 

 

 

 

 

 

 

 

 

 

 

 

 

 

 

 

 

 

 

 

 

 

 

 

 

 

 

 

 

 

 

 

 

 

 

 

 

 

 

 

 

 

 

 

 

 

 

 

 

 

 

 

 

 

 

 

 

 

 

 

 

 

 

 

 

 

 

 

 

 

 

 

 

 

 

 

 

 

 

 

 

 

 

 

 

 

 

 

 

 

 

 

 

 

 

 

 

 

 

 

 

 

 

 

 

 

 

 

 

 

 

 

 

 

 

 

 

 

 

 

 

 

 

 

 

 

 

 

 

 

 

 

 

 

 

 

 

 

 

 

 

 

 

 

 

 

 

 

 

 

 

 

 

 

 

 

 

 

 

 

 

 

 

 

 

 

 

 

 

 

 

 

 

 

 

 

 

 

 

 

 

 

 

 

 

 

 

 

 

 

 

 

 

 

 

 

 

 

 

 

 

 

 

 

 

 

 

 

 

 

 

 

 

 

 

 

 

 

 

 

 

 

 

 

 

 

 

 

 

 

 

 

 

 

 

 

 

 

 

 

 

 

 

 

 

 

 

 

 

 

 

 

 

 

 

 

 

 

 

 

 

 

 

 

 

 

 

 

 

 

 

 

 

 

 

 

 

 

 

 

 

 

 

 

 

 

 

 

 

 

 

 

 

 

 

 

 

 

 

 

 

 

 

 

 

 

 

 

 

 

 

 

 

 

 

 

 

 

 

 

 

 

 

 

 

 

 

 

 

 

 

 

 

 

 

 

 

 

 

 

 

 

 

 

 

 

 

 

 

 

 

 

 

 

 

 

 

 

 

 

 

 

 

 

 

 

 

 

 

 

 

 

 

 

 

 

 

 

 

 

 

 

 

 

 

 

 

 

 

 

 

 

 

 

 

 

 

 

 

 

 

 

 

 

 

 

 

 

 

 

 

 

 

 

 

 

 

 

 

 

 

 

 

 

 

 

 

 

 

 

 

 

 

 

 

 

 

 

 

 

 

 

 

 

 

 

 

 

 

 

 

 

 

 

 

 

 

 

 

 

 

 

 

 

 

 

 

 

 

 

 

 

 

 

 

 

 

 

 

 

 

 

 

'원조' 장군봉에서 20분 남짓 오르면 산 정상이다. 두 번째 장군봉이다.

몇 년 전만 해도 폐쇄된 군 레이더 기지와 막사,

병기고 등으로 살풍경한 몰골을 하고 있던 곳이다.

2007년 말 철거 작업이 마무리됐고, 그제야 장군봉도 제 모습을 찾았다.



산 정상에서 천천히 한 바퀴 돌아보시라.

거칠 것 없이 탁 트인 한려해상국립공원이 360도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무인도인 등가도가 혈혈단신 바다 위에 떠 있고,

소매물도와 등대섬은 서수(瑞獸)의 뿔처럼 불쑥 솟았다.

내 나라 안 어디서고 쉬 마주하기 어려운 풍경이다.



맹장(猛將) 아래 약졸(弱卒) 없다.

장군봉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이토록 장한데 그 아래 풍경인들 뒤질까.

억새 무성한 탐방로를 따라 곳곳에 풍경의 보고를 숨겨 뒀다. 해

안에서 소매물도 쪽으로 불쑥 튀어나온 '꼬돌개'는 낙조 감상 일 번지다.

마을을 지키는 당산목 후박나무도 빼놓으면 섭섭한 볼거리.

장군봉 아래에선 일본군들이 파놓은 진지 동굴들도 볼 수 있다.

 


 

 

 

 

 

 

 

 

 

 

 

 

 

 

 

 

 

 

 

 

 

 

 

 

 

 

 

 

 

 

 

 

 

 

 

 

 

 

 

 

 

 

 

 

 

 

 

 

 

 

 

 

 

 

 

 

 

 

 

 

 

 

 

 

 

 

 

 

 

 

 

 

 

 

 

 

 

 

 

 

 

 

 

 

 

 

 

 

 

 

 

 

 

 

 

 

 

 

 

 

 

 

 

 

 

 

 

 

 

 

 

 

 

 

 

 

 

 

 

 

 

 

 

 

 

 

 

 

 

 

 

 

 

 

 

 

 

 

 

 

 

 

 

 

 

 

 

 

 

 

 

 

 

 

 

 

 

 

 

 

 

 

 

 

 

 

 

 

 

 

 

 

 

 

 

 

 

 

 

 

 

 

 

 

 

 

 

 

 

 

 

 

 

 

 

 

 

 

 

 

 

 

 

 

 

 

매물도에 들면 적요하다. 이곳이 '전국구 관광 명소' 소매물도를 지척에 둔 섬인가 의아할 정도다.

음식점이 없고 펜션이 없는 데다 자동차도 없다. 3무(無)의 섬이다.

소란의 근원이 될 곳들이 없으니 당연히 소란스러울 까닭도 없다.

선착장에 섬사람과 뭍사람들이 들고 날 때 잠깐 인기척이 느껴졌다가 이내 절해고도 특유의 적막감에 젖어든다.



매물도는 통영에서 26㎞쯤 떨어져 있다. 본섬과 소매물도, 등대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흔히 소매물도와 구분 짓느라 '대매물도'로 부르지만, 공식 명칭은 매물도다.

주민들도 대매물도라 불리는 걸 달가워하지 않는다.

매물도가 최근 문화의 옷으로 갈아입었다.

단초는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가고 싶은 섬' 사업이었다.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이후 매물도 주민과 다움문화예술기획연구회가 함께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을 모색했고, 그 결과물이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매물도 특유의 생활과 문화를 녹여 낸 공공미술 예술 작품들이 설치됐고,

섬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는 탐방로 등의 시설도 정비됐다.

'어부 밥상' 등 섬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음식 콘텐츠도 개발됐다.


다행스러운 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섬 고유의 경관을 잃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

섬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재정비'와

관광객을 위한 '보존' 사이에서 최대공약수를 찾은 셈이다.



매물도를 한 바퀴 돌아보는 탐방로는 그중 가장 앞세울 만하다.

전체 길이는 5.2㎞. 다 둘러보는 데 세 시간이면 족하다.

당금, 대항 등 매물도의 두 마을 주변을 에둘러 돌아간다.

물론 새로 난 길은 아니다. 예전 마을 사람들이 나무하러 가던 길,

옆 마을로 마실 가던 길 등을 잇고 다듬어 걷기 좋은 산책로로 만들었다.

 


 

 

 

 

 

 

 

 

 

 

 

 

 

 

 

 

 

 

 

 

 

 

 

 

 

 

 

 

 

 

 

 

 

 

 

 

 

 

 

 

 

 

 

 

 

 

 

 

 

 

 

 

 

 

 

 

 

 

 

 

 

 

 

 

 

 

 

 

 

 

 

 

 

 

 

 

 

 

 

 

 

 

 

 

 

 

 

 

 

 

 

 

 

 

 

 

 

 

 

 

 

 

 

 

 

 

 

 

 

 

 

 

 

 

 

 

 

 

 

 

 

 

 

 

 

 

 

 

 

 

 

 

 

 

 

 

 

 

 

 

 

 

 

 

 

 

 

 

 

 

 

 

 

 

 

 

 

 

 

 

 

 

 

 

 

 

 

 

 

 

 

 

 

 

 

 

 

 

 

 

 

 

 

 

 

 

출처 : 씨밀래의 다솜방
글쓴이 : 까까마까 원글보기
메모 :